고양이와 함께 하는 세무사 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고양이와 함께 하는 세무사 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4)
    • 세무사가 알려주는 세무정보 (4)
    • 고양이들과행복한이야기 (1)
    • 복지정책, 최근 정책, 이슈 (8)
    • 금융, 주식 (0)
    • 부동산이야기, 전망 (1)

검색 레이어

고양이와 함께 하는 세무사 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세무사가 알려주는 세무정보

  • 압류금지재산 : 절대적 압류금지재산, 조건부 압류금지재산

    2022.05.11 by 세무사이웅주

  •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 발급방법

    2022.03.01 by 세무사이웅주

  • 가지급금 관련 세무처리 총 정리(법인세법상 가지급금규제)

    2022.02.25 by 세무사이웅주

  • 증여세 셀프신고하는 법과 증여재산공제

    2022.02.25 by 세무사이웅주

압류금지재산 : 절대적 압류금지재산, 조건부 압류금지재산

압류금지재산 ? 국세 등을 체납하게 되면 세무서에서 체납자의 재산을 압류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중 법으로 압류가 금지된 재산이 있습니다. 오늘은 국세징수법 41조에서 규정하고 잇는 " 절대적 압류금지재산 "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절대적 압류금지재산 ? 그건 무엇일까요? 우선, 압류금지재산은 절대적 압류금지재산과 조건부 압류금지재산이 있습니다. ​ 절대적 압류금지재산엔 주로 생계에 필수적인 재산이고 조건부 압류금지재산은 주로 "업"에 관한 재산입니다. 즉,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재산은 대부분이 조건부 압류금지재산입니다. 다만, 농업&어업을 영위하기 위한 재산은 절대적 압류금지재산입니다. ​ 절대적 압류금지재산 ? 1. 체납자 또는 그 동거가족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의복, 침구, 가..

세무사가 알려주는 세무정보 2022. 5. 11. 13:26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 발급방법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원 발급방법 ​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은 대출 등을 하는 경우와 요즘 소상공인지원금 또는 소상공인손실보상금 관련하여 ​ 요구하는 서류입니다. ​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 발급은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 발급방법 확인해볼게요!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 발급방법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은 이름대로 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부가가치세 과세사업자의 소득금액을 증명하는 서류인거에요! ​ 개인사업자의 경우, 소득금액증명원 발급시 사업소득금액(필요경비를 뺀 금액)이 나타나므로 매출에 비하여 소득금액이 낮게 보일 수 있습니다. ​ 또한, 2021소득금액증명원이 2022년 6월 이후에 발급이 되니 그 전까지는 2021년의 소득을 증명할 수 가 없습니다. ..

세무사가 알려주는 세무정보 2022. 3. 1. 17:35

가지급금 관련 세무처리 총 정리(법인세법상 가지급금규제)

안녕하세요. 세무사 이웅주입니다. 오늘은 가지급금 인정이자와 가지급금 지급이자에 관련한 세무처리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가지급금이란? 가지급금이란, 특수관계자에게 업무와 관련 없이 지급한 금액을 말하는데, 세무조사에서도 대부분이 가지급금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아 가지급금 관련 세무처리는 꼼꼼히 처리하셔야 합니다. ​ 가지급금 관련 법인세법상 규제는 가지급금 지급이자의 손금불산입과 가지급금 인정이자 익금산입 규정이 있습니다. 가지급금 규제는 왜 할까? 첫번째로 가지급금이란, 대표자 등에게 업무와 관련없이 가져가는 금전 등을 말하는데 , 대표자가 자기 회사 가져가는데 왜 문제가되냐 ? 라고 의문을 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표자가 100%지분을 가진 1인 주주 법인이더라도 법인과 대표는 분리되..

세무사가 알려주는 세무정보 2022. 2. 25. 20:06

증여세 셀프신고하는 법과 증여재산공제

안녕하세요. 세무사 이웅주입니다. T 스토리 첫 글이네요 !! 만나뵙게 되서 모두 반가워요 _) 종합부동산세,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등에 의해서 증여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 오늘은 증여세 신고하는 법과 어느 경우에 스스로 신고하고 어느 경우에 세무사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은지 정리해보도록 할게요! 증여세 신고의 경우, 신고하는 방법은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1. 본인이 직접 증여세 신고를 하는 방법(홈택스 또는 세무서 직접방문) 2. 세무대리인(세무사)에게 의뢰하는 방법 ​ 본인이 신고하는 경우, 실수를 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추후에 가산세 등 문제가 있을 수 있어요 ! 대신, 직접 신고하는 경우 세무사에게 지급하는 비용은 절약할 수 있겠죠. ​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본인이 직접 증..

세무사가 알려주는 세무정보 2022. 2. 25. 15:1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고양이와 함께 하는 세무사 이야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